카테고리 없음
태평양 상공 여객기에서 내려다본 상층운 구름이다.
김윤찬
2024. 3. 16. 07:41
태평양 상공 여객기에서 내려다본 상층운 구름이다.
상층운(Upper Cloud 上層雲)은 지상 5천 ~ 1만 3천 미터의 대류권의 저온부에서 형성된다. 극지방에서는 3천 미터의 낮은 곳에서도 형성된다. 이 높이에서는 수증기가 얼어붙어 구름은 얼음 결정으로 구성된다. 이들은 대체로 희미하고 투명할 때도 있다.
구름을 여러 종류로 분류하기 시작한 것은 1802~1803년, 약사이자 퀘이커 교도였던 루크 하워드가 구름을 10개로 나누면서 구름학이 시작되었다.
1.권적운/털쌘구름(cirrocumulus) 2.권운/새털구름(cirrus) 3.권층운/털층구름(cirrostratus) 4.고층운/높층구름(altostratus) 5.고적운/높쌘구름(altocumulus) 6.층운/층구름(stratus)
7.층적운/층쌘구름(stratocumulus) 8.난층운/비층구름(nimbostratus) 9.적란운/쌘비구름(cumulonimbus)
10.적운/쌘구름(cumulus)
1956년 세계 기상 기구에서 발간한 국제 구름 도감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다.
구름은 높이에 따라서 상층운, 중층운, 하층운, 수직형(Vertical)으로 나뉜다.